광주시가 무안국제공항 폐쇄 이후 지역 여행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 차례 무산됐던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 재요구에 나서면서 실현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반면 국제선 운항에 필요한 검역·세관·출입국관리소(CIQ) 등을 설치하는 사이 무안공항이 재개항할 수 있어 지역민이 타지역의 공항을 이용할 수 있는 교통비 등을 지원하는 등의 현실적인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10일 광주시에 따르면 무안국제공항의 폐쇄 장기화로 인한 지역 여행업계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 신청서'를 국토교통부에 다시 제출할 계획이다. 지난 4월 15일 신청 이후 두번째 임시운항 요구로 신청서에는 추진배경과 항공기 운항노선, 운항일정, 운항규모, 항공기 기종 등 운항개요가 담겼다. 운항 일정은 무안국제공항이 정상화될 때까지이며 노선은 광주~울란바토르(몽골), 광주~나트랑(베트남), 광주-다낭(베트남), 광주~옌지(중국), 광주~장자제(중국) 등이다. 광주공항의 국제선 운항 가능 시간은 국내선 운항시간을 고려해 아침과 저녁 각 출발 1편, 도착 1편으로 계획하고 있다. 또 국제선 운항의 필수시설인 검역·세관·출입국 관리(CIQ) 등은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위해 울산공항에 임시 국제선 시설을 설치한 사례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공항은 지난 2007년 11월 무안공항이 개항하면서 국제선 기능을 넘겼다. 현재는 서울·제주 국내선이 하루 30여편 정도 운항하고 있다. 하지만 첫 번째 신청 당시에도 국토부는 4개월여간의 검토 과정을 거쳐 지난 8월 국제선 필수시설 설치 등에 난색을 표하며 불가 입장을 보였다. 국토부는 "국제선 부정기편을 운항하기 위해 취항 시 안전 문제가 우려되고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다"는 점 등을 불허의 근거로 든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에도 광주시가 국토부 등에 문의한 결과 무안공항 재개항 시기 등을 고려해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취항 요청에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공항 국제선 취항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에 따라 광주와 전남지역민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실제 여행업계는 무안공항 장기 폐쇄로 인해 2000억원 규모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타지역 공항으로 이동하기 위한 교통비는 제외돼 있어 피해 규모는 더 클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민이 인천공항 등을 이용할 때 교통비를 일부 지원하고 버스노선을 증편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광주시 김영선 통합교통국장은 "현재 국토부가 무안공항 재개항 시기에 대해 명확한 로드맵을 밝히지 않고 있어 광주·전남지역민의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며 "정부가 경주APEC 정상회의를 위해 울산공항에 국제선 필수시설을 4개월 만에 설치한 사례가 있는 만큼 광주공항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국토부가 지역민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역민이 해외 여행을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국토부에 지속적으로 요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광주공항의 활주로 길이는 2835m(2본)로 중형 기종을 활용한 동남아·하와이까지 운항이 가능하다. 무안공항은 지난해 12월 29일 태국 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도중 랜딩 기어를 펼치지 못하고 활주로를 벗어나 시설물과 외벽담장을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해 폐쇄됐다. 이 사고로 승객 등 179명(광주·전남 157명)이 숨졌다. 호남일보 인터넷신문 관리자 기자 |
조선 후기의 다성(茶聖) 초의선사는 전남 무안 출신으로 현재까지도 그의 탄생제와 다례행사가 무안 일대에서 성대히 열리고 있다. 그러나 정작 초의선사가 출가했던 나주 지역의 차문화는 '조선 후기’ 이후로만 좁게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이다. 나주에 소재한 한국명인명장연구소 허북구 소장(농학박사)는 10일 "나주의 차문화는 초의선사 이전인 고려시대부터 이미 찬란히 꽃피었다"며 "역사적 복원을 통한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한국농어촌관광학회지에 실린 박계수·허북구 연구(고려와 조선시대 나주 금성산·금성관 일대의 음다 공간) 자료에 따르면, 나주 금성산 일대는 고려시대 팔관회(八關會)가 열린 유일한 차 산지로, 당시부터 야생차가 자생하며 제사 의식과 교류의 중심 역할을 했다. 연구팀은 금성산 자락의 복암사·심향사 등 사찰에서 제의용 차 공양과 접대차 문화가 활발히 이뤄졌으며, 고려~조선으로 이어지는 차 문화의 '맥'이 분명히 존재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금성산에는 현재까지도 약 20ha 규모의 야생차 군락지가 남아 있으며, 이는 인위적인 재배가 아닌 1000년의 자연 자생차 문화유산으로 평가된다. 조선 후기 다천(茶泉) 정우익이 이곳의 야생차로 다회를 열어 남도 유학자들과 교류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차 문화 행사는 대체로 초의선사를 중심으로 무안 지역에 집중돼 있다. 나주는 초의선사가 운흥사(나주 다도면 소재)로 출가해 수행했던 곳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전 고려시대 '차의 원향(原鄕)'으로서의 역사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조명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박계수·허북구 연구팀은 "초의선사는 분명 조선 후기 차 문화의 결정적 인물이지만, 그가 태어난 무안과 달리 나주는 차의 터전이자 뿌리였다"며 "초의선사의 수행지이자 고려 팔관회가 열린 금성산 차 문화권을 함께 조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슷한 사례로 김해시의 '장군차(將軍茶)' 브랜드화가 주목 받고 있다. 김해는 가야시대 기록 중 '왕과 장군이 전쟁 전후에 차를 마셨다'는 사료를 근거로, 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가야장군차'를 지역 특화 브랜드로 육성했다. 김해시는 가야 문화와 차를 결합한 축제, 관광 상품,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역사·문화·산업'이 결합된 차 문화를 성공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이에 비해 나주는 고려시대부터 차의 산지로 기능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를 관광 자원이나 문화 브랜드로 적극 육성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허북구 소장은 "금성산은 차의 생산·유통·소비가 공존했던 고려의 대표적 차 공간으로, 초의선사 이전부터 형성된 나주의 차문화 전통은 한국 차 문화의 뿌리"라며 "이제는 초의선사 중심의 단선적 서사를 넘어 고려 차문화의 원류로서 나주를 재조명할 때"라고 제언했다. 호남일보 인터넷신문 관리자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달 말 최종 선정하는 '핵융합 핵심기술 개발·첨단 인프라 구축사업' 부지 공모에 전국 7개 지자체가 치열한 물밑 경쟁을 벌이고 있다. 약 1조2000억원이 투입되는 이번 사업은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 연구소를 건립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6일 과학계에 따르면 인공태양은 수소 1g으로 석유 8t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어, 고갈 위기의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게임체인저이자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부지 공모에는 전남 나주를 포함해 경북 포항·경주, 울산, 경남 창원(추정), 대전 유성구, 전북 군산 등 7개 지자체가 참여했다. 이들 지자체는 약 50만㎡(15만여 평)를 무상 제공하는 조건에서 각기 강점을 내세우며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과기부가 공개한 평가 항목은 기본 요건(40점), 입지 조건(50점), 정책 부합성(10점)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입지 조건 점수는 50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지질적 안정성이 중요 평가 요소로 꼽힌다. 그러나 일부 후보지는 과거 규모 5.4와 5.8의 대규모 지진 발생 이력이 있어 안전성 평가에서 불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 후보지는 부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나주시가 제공하는 왕곡면 에너지국가산단을 일부 포함한 인접 부지는 단단한 화강암 지반 위에 최근 20년간 규모 3.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등 안정적인 지질 환경을 갖췄으며, 지근 거리에 고속철도 등 우수한 교통망과 인근 연구기관과의 협력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과기부는 오는 13일 유치계획서 접수를 시작으로 14~20일 7개 지역 실무 현장 조사를 거쳐 21일 평가 결과 보고서를 통해 우선 협상 대상지를 선정하고, 11월 중 최종 후보지를 발표할 계획이다. 연구시설 구축은 2027년 착공해 2036년 완공될 예정이며, 선정 지역에는 약 300여 개 기업이 입주하고 최대 1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지역 경제에 10조원 이상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과기부는 부지 선정 과정에서 부지 제공 가능성, 토지 확보 계획, 진입로·부대시설 구축 가능성 등 기본 요건과 지리적 여건, 자연재해 안전성, 주민 수용성 등 입지 조건을 엄격히 평가한다. 특히 최근 20년간의 지진 발생 현황, 인근 활성단층 거리, 홍수·산사태 위험 요소 등 관련 기관의 과학적 데이터와 자문 자료를 근거로 자연재해 안전성을 검증한다. 정책 부합성 부문에서는 지원 체계의 적절성, 지역사회 경제적 파급 효과, 행정력과 협력 의지 등을 평가한다. 핵융합 연구분야 한 관계자는 "이번 과기부의 인공태양 연구시설 부지 선정은 국가 연구개발 역량 강화와 함께 지역 균형 발전과 첨단 산업 육성의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호남일보 인터넷신문 관리자 기자 |
광주 광산구는 하남산업단지(하남산단) 인근 주거지역 지하수에 대한 실태조사에 나선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내년 10월까지 약 1년간 하남산단과 인근 주거지역(1.17㎢)을 대상으로 추진된다. 한국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가 조사를 수행한다. 관정 현황과 수리 지질(시추·대수성시험, 예측모델링), 관측공 신규 설치(10공), 신규·기설 관측공 수질분석 등이 이뤄진다. 광산구는 실태조사를 통해 하남산단 주변 지하수 오염 확산 범위를 정확히 파악한다. 조사 결과는 정화 대책과 관리 방안 수립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산단 내 심도별 지하수 수질 조사, 오염 범위 분석도 추진할 예정이다. 앞서 광산구는 지난 7월 하남산단 지하수·토양오염조사 용역을 통해 발암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TCE)이 기준치의 최대 466배,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은 284배 초과한 것을 확인하고 별다른 후속 대책을 세우지 않아 논란이 됐다. 이후 구는 하남산단과 일대 지하수 이용 관정 245곳 중 채수 불가능한 곳을 제외한 174공에 대해 긴급 수질검사를 진행했다. 주거지역 관정 105공은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 광산구 관계자는 "하남산단 지하수에 대한 주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고 체계적인 정화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차원에서 조사에 착수한다"며 "전문적인 조사로 오염 여부를 확인하고 주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조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호남일보 인터넷신문 관리자 기자 |
전남도가 올 가을 '단풍길 따라 떠나는 힐링 여행지'로 순천 송광사·담양 관방제림·구례 지리산 피아골·장성 백양사를 추천했다. 추천 여행지는 단풍 명소로 사랑받는 곳으로, 자연과 문화, 먹거리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낭만 가득한 가을 여행을 만끽할 수 있다. 순천 송광사는 가을철 경내와 조계산 숲길이 붉고 노란 단풍으로 물든다. 일주문에서 대웅전으로 이어지는 돌담길은 고요한 분위기에 사색하기 좋은 공간이다. 2022 칸 영화제 감독상 수상작인 '헤어질 결심'의 촬영지다. 고즈넉한 분위기에서 명상, 차담 등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체험하며 지친 일상에 쉬어가는 힐링의 시간을 만들 수 있다. 순천만갯벌에서 잡은 보양식 짱뚱어탕과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전통시장인 웃장·아랫장의 돼지국밥을 맛보며 미식 여행도 즐겨볼 수 있다. 담양 관방제림은 200년 수령이 넘는 느티나무·팽나무·벚나무·은단풍 등이 2㎞ 넘게 이어지는 숲길이다. 옆으로 흐르는 담양천의 조화가 아름다워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매년 울긋불긋한 단풍이 잔잔한 담양천에 비추는 경관을 배경 삼아 사진을 남기는 관광객이 끊이지 않는 명소다. 100년 전통을 자랑하는 담양 창평국밥, 예로부터 내려오는 조리법으로 만든 담양 떡갈비 등 지역 전통 음식을 맛보며 여행의 즐거움을 더할 수 있다. 구례 지리산 피아골은 '산도 붉고, 물도 붉고, 그 사이를 걷는 사람까지 붉게 물든다'는 뜻으로 삼홍(三紅)이라 불리는 단풍 명소다. 4㎞ 산책길을 걸으며 만추의 계절 단풍의 진수를 느낄 수 있다. 국립공원의 자연 생태와 함께 연곡사와 같은 역사 깊은 사찰도 둘러보며 지리산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구례는 산으로 둘러싸인 지역으로 자연에서 채취한 식재료가 풍부하다. 산에서 키운 닭을 숯불에 구워 먹는 산닭구이, 섬진강의 시원함이 그대로 느껴지는 다슬기수제비, 지리산에서 나는 다양한 채소로 차린 산채정식 등 건강한 식재료로 만든 구례 고유의 별미를 맛볼 수 있다. 장성 백양사는 애기단풍과 사찰 입구 누각 쌍계루가 연못에 비치는 풍경이 마치 한 폭의 그림처럼 펼쳐지는 곳으로, 사진작가들이 아침 일찍부터 찾는 출사지다. 백양사 입구부터 경내까지 이어지는 산책로는 평탄하고 오르막이 없어 남녀노소 누구나 천천히 걸으며 아름다운 단풍 터널을 경험할 수 있다. 장성 황룡강변 인근에서 맛과 전통을 자랑하는 순대국밥과 참게탕·민물매운탕, 축령산 인근에서 지역 농산물로 만든 산채나물을 곁들인 시골밥상 정식 등 다양한 산지 식재료로 만든 향토음식을 맛볼 수 있다. 오미경 전남도 관광과장은 "천고마비 계절인 가을이면 전남은 자연경관이 빼어날 뿐만 아니라 먹거리 또한 풍부해진다"며 "단풍이 만들어내는 화려한 풍경을 배경으로 마음의 치유와 풍성한 미식 경험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전남에서 가을 여행을 계획해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호남일보 인터넷신문 관리자 기자 |
광주지역 임금노동자의 40% 가까이가 비정규직이고, 정규직·비정규직 통틀어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37시간, 월평균 임금은 300만 원을 조금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광주노동권익센터가 발표한 '2025 광주시 노동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광주지역 임금노동자는 59만5704명으로, 이 중 39.2%(23만3590명)가 비정규직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 중 임시일용직이 15만6369명이며, 계약직·시간제는 7만7221명으로 집계됐다. 전국 평균 비정규직 비율은 39.9%로 전년보다 0.8%포인트 올랐고, 광주 역시 전년 대비 0.8%포인트 상승했다. 6대 광역시 중 부산(41.1%), 인천(41.0%), 울산(40.0%), 대구(39.4%) 다음이고, 대전이 38.5%로 가장 낮았다. 성별로는 남성 노동자 31만7760명 중 31.5%(110,183명), 여성 노동자 27만7944명 중 48.0%가 비정규직이었다. 연령대별로는 29세 이하 43.1%, 30대 24.8%, 40대 25.6%, 50대 35.5%, 60대 이상 73.4%가 비정규직이었다. 최근 5년 간 광주지역 정규직은 3만6000명 증가한 반면 비정규직은 7200명 감소했다. 산업별 노동자 규모는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이 9만8372명으로 지난해에 이어 1위를 차지했고, 제조업(9만7626명), 건설업(5만6435명), 교육서비스업(5만3232명)이 뒤를 이었다. 주요 산업별 비정규직 비율은 숙박·음식점업 69.1%,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53.3%, 건설업 49.1%, 공공행정 국방·사회보장 행정 36.8% 등이다. 규모 면에서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비정규직이 5만2444명으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은 1만4869명 15.2%를 기록했다. 주당 노동시간은 36.90시간(정규직 41.96, 비정규직 29.17), 월평균 임금은 292만원(정규직 359, 비정규직 189)으로, 전국 평균 37.84시간(정규직 42.34, 비정규직 31.14), 316만원(정규직 388, 비정규직 207)에 비해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짧게 일하고 적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시 300인 이상 고용기업은 86곳에 달하고,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22개(25.6%), 제조업 17개(19.8%), 사업시설관리·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12개(14.0%), 건설업 11개(12.8%) 등이다. 300인 이상 고용기업의 전체 노동자는 7만9915명으로, 이 중 비정규직은 47.1%(3만7649명)를 차지했다. 정찬호 센터장은 "지역 고용상황에 대한 세부적 통계 자료가 미흡한 가운에 7년째 정부자료를 재분석해 발표하고 있다"며 "보고서를 통해 지역 노동시장을 함께 공유하고 효과적인 노동정책 수립의 기초자료가 돼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호남일보 인터넷신문 관리자 기자 |
광주시 공무원노조위원장 출신 이종욱 민주노총 광주본부장이 내년 6월 광주시장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이 본부장은 5일 광주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0년 행정 경험과 민주노총 본부장으로서의 역량과 경험을 바탕으로 호남의 전성기, 광주의 자존심 회복을 이끌겠다"고 출마의 변을 밝혔다. 이 본부장은 "광주는 기존의 정치와 행정방식으로는 더 이상 답을 찾을 수 없다고 확신한다"며 "군공항 이전, 재정 위기, 행정 통합, 시립의료원, AI 국가시범도시, 소각장 등 광주의 굵직한 현안들, 이제는 완전히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4500여 시 공직자 동료들과 손을 잡고 색다른 정치, 색다른 행정의 효능감을 보여드리겠다"고 공언했다. 김재연 진보당 상임대표는 "광주의 노동운동, 윤석열 퇴진과 사회대개혁을 이끌었던 이 본부장의 입당을 환영하고, 광주와 시민의 삶을 바꾸기 위한 결심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견에서는 고(故) 오지호 화백의 증손녀 박지윤씨가 지지 발언을 해 눈길을 끌었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에서 불교 미술사 박사 과정을 밟고 있는 박씨는 "태평양의 50m 파도를 뚫고 길을 열었던 항해사 이종욱이 광주를 청년을 위한 도시로 탈바꿈시킬 것으로 믿는다"며 말했다. 전남 곡성 출신으로 광주 진흥고, 목포해양대를 졸업한 이 본부장은 1995년 광산구청 공무원으로 임용된 이후 2003년 광주시로 전입했고, 전국공무원노조 광주본부장을 거쳐 민주노총 광주본부장을 연임 중이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정상화 시민대책위 공동대표도 맡고 있다. 호남일보 인터넷신문 관리자 기자 |
강기정 광주시장이 "12월 22일까지 도로 개포장 공사가 완료되지 않으면 사퇴하겠다"고까지 했던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공사 상부도로 복구공사가 속도를 내고 있지만 안전사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3일 광주도시철도건설본부에 따르면 이날 기준 광주도시철도 2호선 1단계 서구 차량기지~북구 광주역 뒷편 총 6공구 공정률은 97%로, 지하 공사는 마무리되고 전기 등 설비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하 토목공사가 완료됨에 따라 지상구간 도로 복구 공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1공구(차량기지~운천저수지) 도로 개방률은 93%로, 가장 빠르게 복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2공구(월드컵경기장) 34%, 3공구(무등시장 인근) 60%, 4공구(남광주 고가도로 앞) 52%, 5공구(산수오거리 인근) 66%, 6공구(광주역 뒷편) 75%이다. 개방률이 가장 저조한 2공구는 암반 발견 등으로 인해 공사가 지체됐지만 최근 제거작업이 완료돼 상부도로 복구 공사를 진행하고 있어 12월 22일 전에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또 백운광장 구간은 대남지하차도(남광주농협~주월교차로 945m) 공사와 맞물려 내년 6월께 완전 개통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공사(7공구~14공구·광주역 뒷편~광주시청 인근 차량기지)는 지난해 11월 공사를 시작해 현재 5%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도로 상부 복구공사가 야간·주말 작업까지 강행하며 속도를 냄에 따라 안전사고도 우려되고 있다. 실제 지난달 22일 오후 2시께 광주 북구 풍향동 도시철도 2호선 공사현장 주변에서 상수도관이 파열돼 주변 상가 물 공급이 끊겼다. 또 지난해 5월 2일 오전 출근시간대 남구 백운광장 도시철도 2호선 4공구 공사 현장 내 지하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해 이 일대 교통이 극심한 혼잡을 빚었다. 광주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공사구간 안전사고는 발목 부상 등 지난 10월 기준 25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는 총 32건이다. 광주도시철도건설본부 관계자는 "지난 7월과 8월 두달 동안 공사가 중지되는 3㎜ 이상의 비가 내린 날이 30일이었다"며 "가을에도 비 등의 변수가 없으면 백운광장을 제외한 모든 구간 상부도로 개방 공사는 완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일부 정거장 구간만 지하 시설 공사에 필요한 물품을 운송해야 하기 때문에 통행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안전을 우선에 두고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광주도시철도 2호선은 북구 중흥동~서구 유촌동까지 20㎞(18개 역사)구간이며 1단계 6공구 공사는 지난 2019년부터 시작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 7월 22일 광주 북구 광주교통문화연수원에서 열린 택시요금 현실화를 위한 시민 공청회 인사말을 통해 "광주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공사로 상부도로 통행 불편에 대한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며 "12월 22일까지 도로포장이 완료되지 않으면 시장을 그만두겠다"고 발언했다. 호남일보 인터넷신문 관리자 기자 |
전남대학교가 광주학생독립운동 96주년을 맞아 국내외에 흩어져 있는 관련 기록을 수집해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한다. 3일 전남대에 따르면 광주학생독립운동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추진단(책임교수 김재기 정치외교학과 교수)이 지난 1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재외한인학회 국제학술회의에서 1930년 3월 미국에서 발간된 영문 책자 'KOREA MUST BE FREE'(32쪽)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 책자는 전남대 김재기 교수가 뉴욕의 한 고서점에서 찾아낸 희귀 문헌으로, 광주학생독립운동을 계기로 미국과 유럽, 스위스 등 국제사회에 한국의 독립 필요성을 호소한 영문 기록물이다. 책자 30~31쪽에는 광주학생독립운동과 국제연맹(League of Nations)이 언급돼, 당시 한국 독립운동이 세계 여론전의 한 축으로 전개되었음을 보여준다. 책자는 워싱턴 D.C.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구미주차한국위원회(Korean Commission to America and Europe), 대한인국민회(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교민단(The Kyo-Min-Dan), 동지회(The Dong-Ji-Hoi), 북미한인유학생회(The Korean Student Federation of North America) 등 5개 단체가 공동으로 제작한 것이다. 당시 이들 단체는 현재 가치로 약 1억원에 달하는 기금을 모아 1만 부를 인쇄했으며, 미국과 유럽 각지에 배포해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국제사회에 알렸다. 유네스코 등재 추진은 교육부와 광주시의 지원을 받아 전남대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으로 구성했으며, 향후 5년 간 진행할 예정이다. 전남대의 전신인 광주농업학교·목포상업학교·여수수산학교는 광주고등보통학교, 광주여고보 등과 함께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주도한 교육기관이다. 김재기 교수는 "국내외에 흩어져 있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록들을 보면, 10대 학생들이 자유·평등·박애라는 인류 보편적 가치를 향해 싸운 세계적인 운동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며 "2029년 광주학생독립운동 100주년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해, 5·18기록물과 함께 세계 속에서 광주의 정신을 빛내고 싶다"고 말했다. 호남일보 인터넷신문 관리자 기자 |
광주·전남 광역연합 연내 출범이 일부 주체의 보이콧으로 기로에 놓인 가운데 광주시민 10명 중 7명은 광역연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경제·교통 분야를 중심으로 상생 발전이 기대된다는 의견이 주류를 이룬 반면 일부 시민들은 정치적 이해관계와 지역 간 균형발전, 권한 배분 문제에 우려감을 표했다. 2일 광주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가 만 18세 이상 시민 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광역연합 설치 필요성에 대해 응답자의 71.4%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매우 부정 또는 부정'이라고 답한 응답층(28.6%)의 2.5배에 달했디. 성공 조건으로는 '원만한 이해관계 조율'(33.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명 중 1명 꼴로 두 지역의 신뢰와 협력을 우선시한 셈이다. 다음으로 '공동사업 발굴'(21.3%) '중앙정부 지원'(18.3%)이 뒤를 이었다. 우선 협력 분야로는 '산업·경제활성화’(32.3%)와 '광역교통'(31.8%)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관광·문화'(17.7%), '복지교육'(10%), '환경·에너지'(8.1%) 순이다. 특히 제1호 공동사무인 광주-나주 광역철도 사업에 대해서는 69.1%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광주·전남 상생 발전'(43.6%)이 가장 큰 기대효과로 꼽혔고 다음으로 '브랜드 경쟁력 강화'(25.9%), '행정 효율성 향상'(21.7%), '주민 서비스 개선'(8.7%) 순이었다. 반면 우려스런 점으로는 '정치적 이해관계 충돌'(26.7%)이 가장 높았다. 이어 '지역 간 형평성 문제'(23.5%), '권한 배분 갈등'(22.1%), '행정 비용 증가'(17.3%), '추진 불투명성'(10.5%) 순으로 조사됐다. 정책 추진 과정에서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광역연합에 대한 인식도가 낮은 점도 과제로 확인됐다. 광역연합에 대해 '잘 알고 있음'는 시민은 5.9%에 그친 반면 전체 응답자의 49.9%는 '전혀 모른다'고 답해 상당수는 광역연합에 대해 정확히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필요성에는 막연히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는 광주시의회 의뢰로 한국정책연구원에서 전화면접 방식으로 실시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7포인트다. 안평환 행정자치위원장은 "이번 조사는 특별광역연합 추진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과 기대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의미있는 계기였다"며 "시민들의 의견을 면밀히 반영해 광역연합이 지역 상생과 공동 발전의 토대가 될 수 있도록 시의회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호남일보 인터넷신문 관리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