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광주시민 2명 중 1명 "AI 선도도시 될 것"

광주연구원, 일반시민 605명 대상 이례적 설문

10명 중 8명 "삶의 질↑…교통·에너지 우선 적용"

"일자리↓·정보유출은 우려"… 비용 부담은 과제

정부가 인공지능(AI) 세계 3대 강국을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가운데 광주시민 2명 중 1명은 AI 선도도시로 발전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10명 중 8명은 AI 사용 경험이 있고, 실제 도시문제 해결과 삶의 질 향상을 예상했다.

교통, 에너지 분야 우선 적용에 방점을 찍은 반면 AI로 일자리가 줄고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적잖았고 비용 부담과 인프라 구축, 정보 신뢰도는 풀어야 할 과제로 제시했다.

7일 광주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5∼25일 시민 60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온라인 조사와 고령층 면접 방식을 통해 '포용적 AI 대전환 방안'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98%포인트다.

이번 조사는 기업이나 공급자이 아닌 수요자인 시민을 대상으로 진행됐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조사 결과, 광주가 AI 선도도시로 발전할 수 있을 지를 묻는 질문에 54.5%는 '가능하다"고 밝혔고, '가능하지 않다'는 7.4%에 그쳤다. 또 79.2%는 AI서비스 이용경험이 있고, 이 중 21.1%는 '생성형 AI를 거의 매일 사용 중'이라고 답했으며, AI사용자 10명 중 7명(68.4%)은 '생성형 AI로 근로시간이 단축됐다'고 밝혔다.

또 64.0%는 AI가 '도시문제 해결'에, 73.2%는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답했다. 행정·공공분야 AI 도입에 대해선 92.4%가 '찬성'했고, 이 중 29.6%는 '적극 도입'을 주문했다.

우려와 과제도 적잖았다. 81.2%가 'AI로 일상이 편해질 것'을 기대한 반면 '일자리 대체', '개인정보 유출'을 우려한 시민도 각각 76.7%와 71.1%에 달했다. 창의성 감소, 디지털 격차를 염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AI 서비스 구독료 부담(65.6%)과 이용의 어려움(28.4%), AI가 윤리판단을 할 수 없고(32.2%) 정보신뢰도가 높지 않은 점(50.9%)을 감안, AI 3대 장벽에 대한 지원책 마련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40.3%가 교육·훈련 기관 부족을 꼽은 점도 곱씹어볼 문제다.

시민체감형 서비스 개발에 적합한 분야(복수응답)로는 교통이 43.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안전·치안(28.8%), 교육·학습(26.6%), 복지·돌봄(18.5%), 의료·헬스케어(18.0%), 환경(15.7%), 문화·여가(12.6%) 순이다. I산업을 위해 신경써야 할 부분(이하 단수응답)으로는 31.2%가 인프라 구축을 꼽았고, 인력 양성(20.8%), 연구개발(18.5%), 기업 유치(15.0%), 창업 활성화(6.0%)가 뒤를 이었다.

지역산업 고도화를 위해 AI 기술을 우선 적용해야 할 분야로는 에너지(30.2%)가 가장 많았고, 문화콘텐츠, 자동차, 헬스케어, 광산업이 2∼5위를 차지했다. AI기술 실증을 위해선 장소 제공(24.1%)과 원스톱 창구(23.6%), 비용 지원(18.3%)이, AI를 쉽게 접하고 활용하기 위해선 체험(30.1%)과 교육(28.9%), 홍보(19.8%)가 중요하다고 시민들은 인식했다.

한경록 선임연구위원은 "AI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론 'AI 대전환'이라는 거대물결에 대한 기대감이 뚜렷했고, 산업 측면에선 자동차, 에너지, 헬스케어 뿐만 아니라 에너지, 교통 분야에 우선 적용했으면 하는 바람도 매우 컸다"고 말했다. 또 "시민들이 쉽게 이해하고 느끼고 접근하기 편하려면 체험과 교육, 홍보 3가지 요소가 잘 작동해야 할 것 같다"고 제언했다.

 

호남일보 인터넷신문 관리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