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라이프

광주 지하수오염·SRF악취 '숨기기 급급'

SRF기준치 이상 악취…산단 1군 발암물질 검출

주민 "유해 성분 확인하고 시설 가동 중지부터"

환경 전문가 "공공의 안녕, 투명한 성분 공개를"

광주 광역위생매립장 내 가연성폐기물 연료화시설(SRF)에서 법정 허용기준을 넘는 악취가 발생하고 지역 내 산업단지(산단) 지하수에서도 발암물질이 잇따라 검출되면서 주민 건강권이 위협 받고 있다.

행정당국이 환경 조사 결과를 곧바로 주민에게 공개하지 않은 것에 대한 행정 불신도 커지고 있다. 주민과 환경 전문가는 더 큰 피해를 막기 위한 건강 피해 조사와 후속 대책 마련, 투명한 정보 공개를 촉구했다.

17일 광주 남구에 따르면 지난 6월과 이달 악취 측정 결과 남구 양과동 위생매립장 내 SRF시설 배출구에서 희석배수 669가 검출됐다. 악취 법정 허용 기준인 500을 넘는 수치다.

지난 2023년 여름철 발생한 악취 민원은 올해 폭증했다. 악취 민원은 2023년 16건, 지난해 24건에서 올해 8월 기준 311건으로 늘어났다.

SRF시설 인근에 사는 주민들은 악취로 잠에서 깨거나 창문을 열지 못하는 등 일상 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으며 유해 성분 확인과 가동 중지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주민 원성이 높아지자 관할 행정당국인 남구와 광주시는 폐기물관리법에 근거한 가동 중지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SRF 운영 업체는 이렇다 할 악취 원인을 찾지 못한 채 경위를 파악 중이다.

효천2지구 한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장은 "주민 건강이 위협 받는데 시설 밀폐나 설비 문제가 있다면 당장 가동을 중지하고 행정 처분도 과태료부과에 그쳐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광주 하남산단과 본촌산단에서도 지하수 발암물질 검출 사실이 뒤늦게 공개되면서 공분을 사기도 했다.

광산구에서는 2020년부터 2023년 6월까지 지하수·토양오염 조사 용역을 의뢰해 하남산단 전역 171개 지점에 657개 시료를 채취해 분석했다. 이 중 TCE(트라이클로로에틸렌)가 117개, PCE(테트라클로로에틸렌)가 67개 시료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TCE와 PCE는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이다. 금속부품 세정제나 접착제 첨가제 등에 이용된다.

당시 검사 결과 보고서에는 주민 건강 보호를 위한 지하수 사용 중지 행정 조치와 이용 현황, 오염 실태조사 권고 내용이 포함됐지만 정화 작업은 이뤄지지 않았다.

발암물질 논란이 일자 광산구는 하남산단과 인근 주거지 174곳을 대상으로 지하수 관정을 전수조사했고 산단 내 16곳은 기준치를 초과한 TCE와 PCE가 검출됐다. 광산구는 지하수 이용자를 상대로 수질개선 명령을 내렸다.

앞서 북구에서도 지난 2021년까지 같은 조사를 진행했는데 본촌산단 43개 지점 중 14곳에서 TCE가 기준치를 초과했다. 주 오염 지역인 옛 로케트건전지 부지와 호남샤니 부지에서는 30~40년 전 사용한 발암물질로 추정된다.

광산구와 북구 모두 지하수 오염 용역 공개 의무 조례도 있었지만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전문가는 SRF시설과 지하수 발암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측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행정기관의 안일한 대처를 지적하며 공공의 알권리를 위해 정보를 낱낱이 공개해야 한다고 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SRF 시설 악취에 대해 "폐기물 연소 과정에서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물질 생성된다"며 "악취의 원인조차 못 찾는 시설이라면 근로자·주민 건강을 위해 가동 중지하고 유해 성분 조사부터 해야 한다. 지자체가 건강이 달린 일에 안일하게 대처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최 소장은 산단 지하수 발암물질 문제와 관련해선 "지하수가 농수로 사용되는 등 우리 생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먹이 사슬 단계를 거치면 일부 성분은 발암물질이 더 농축된다"며 "모델링을 통해 과거 노출량을 산출해 생태계 잠복 가능성과 인체 유해성을 파악해야 한다. 산단 기업 편에 서는 게 아닌 공공의 안녕과 시민의 알권리를 위해 성분을 낱낱이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호남일보 관리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