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교육·시민사회단체가 13일 교육청 감사관 채용비리 유죄 판결에 이정선 광주시교육감의 책임을 추궁했다.
광주교육시민연대는 이날 오전 광주시교육청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번 사건은 단순한 인사 문제가 아니라 광주교육의 공정성과 청렴성을 뿌리째 흔든 중대 비리"라고 성토했다.
교육시민연대는 "교육행정의 신뢰는 공정성과 청렴성으로 다져진다. 더이상 교육행정이 그늘진 곳에서 사적인 힘으로 휘둘려서는 안된다"며 "이정선 교육감은 이번 사태에 대해 모든 도덕적, 행정적, 정치적 책임을 지고 결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앞서 광주교육의 정상화를 촉구하는 38개 시민사회단체도 시교육청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교육감의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시민사회단체는 "이정선 교육감 취임 초기부터 특정 인맥과 사적인 관계에 의해 교육행정이 이뤄졌음이 밝혀진 것은 매우 충격적"이라며 "사무관 혼자 채용비리를 저질렀다는 식으로 꼬리 자르기에 나선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시민사회단체는 "이제부터라도 무너진 청렴을 바로 세우고 광주교육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투명하고 공정한 인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교육감은 인사비리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고 광주시민에게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광주지법 형사5단독 지혜선 부장판사는 지난 12일 감사관 채용 과정에서 허위공문서 작성·행사, 공무상비밀누설,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를 받고 있는 시교육청 전 인사팀장 A(55)씨에 대해 징역 1년6개월을 선고했다.
이정선 교육감은 같은 날 사과문을 발표하고 "교육청 감사관 채용 과정에 대한 재판 결과로 인해 큰 실망과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광주시민과 교육가족 여러분께 깊이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 교육감은 "광주 교육을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사법부의 판단을 존중하며, 이번 일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다시는 이와 같은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당 사건 이후 면접 위원을 외부 위원으로 100% 구성하는 등 투명성과 공정성을 최우선으로 인사 채용 절차를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호남일보 관리자 기자 |